YTN은 시청자 여러분과 함께 확인되지 않은 독립운동가들의 묘소를 추적하고 있는데요, <br /> <br />이런 어이없는 사례도 있었습니다. <br /> <br />1910년대 대표적인 항일 투사인 박상진 의사의 묘소는 보훈청 직원들이 벌초까지 했는데도 정작, 정부 기록에는 그 위치를 알 수 없다고 올라와 있었습니다. <br /> <br />그 이유를 이승배 기자가 추적했습니다. <br /> <br />[기자] <br />일제에 국권을 상실한 직후인 1910년대, 광복회는 대표적인 항일 조직이었습니다. <br /> <br />박상진 의사는 이 조직을 이끈 수장이었습니다. <br /> <br />27살에 판사 시험에 합격해 평양 법원에 발령받았지만, 임용을 거부했습니다. <br /> <br />독립운동 자금을 모으고 나라를 등진 친일 인사를 암살하는 등 광복 투쟁에 나섰지만 일본 경찰에 붙잡혀 38살에 사형당했습니다. <br /> <br />[김정수 / 울산시 송정동 : 울산 북구 송정동 자랑이죠. 박상진 생가도 여기 있고 위에 올라가면 호수 공원도 있거든요. 거기 가도 박상진 동상하고 관련 내용이 많이 적혀 있습니다.] <br /> <br />이뿐만이 아닙니다. <br /> <br />생가가 있는 동네 아파트 단지입니다. <br /> <br />보시는 것처럼 주변 도로는 유공자 이름을 따서 '박상진길'이라고 지었습니다. <br /> <br />박 의사의 호를 딴 초등학교도 있습니다. <br /> <br />그런데 어찌 된 일인지 정부 자료에는 묘소가 어디에 있는지 모른다고 기록돼 있습니다. <br /> <br />후손은 그럴 리가 없다고 말합니다. <br /> <br />[박중훈 / 박상진 의사 증손자 : 울산 보훈지청장께서 증조부님 묘소에 (와서) 벌초를 하셨고 안내판을 설치할 때도 참석하셨고 해마다 생가에서 열리는 추모식에도 참석하시거든요.] <br /> <br />취재진이 확인한 결과, 담당이 서로 달랐습니다. <br /> <br />생가는 울산에 주소를 두고 있고, 묘소는 차로 40분 거리 떨어진 경주에 있습니다. <br /> <br />울산은 울산보훈지청이, 경주는 경북 남부보훈지청이 관리합니다. <br /> <br />울산에서는 후손을 통해 묘소를 파악하고 있었지만, 정작 묘소가 있는 경주는 연락처도 모르고 있었습니다. <br /> <br />[울산보훈지청 관계자 : 울산에서는 제일 유명하신 분이기 때문에. 생가가 여기 있고 관심을 많이 두고 있어서, 저희는 묘소 위치는 알고 있는데, (묘소는) 경주시 담당이다 보니까 아마 그런 것 같습니다.] <br /> <br />[경북남부보훈지청 관계자 : 증손자분 연락처는 경주에서는 알 수 없었고요. 주소는 알지만, 저희가 주소지로 해서 이런 실태조사가 있으니까 도움을 달라고 안내가 나가거든요. 근데 휴대전화 연락처가 없으면 ... (중략)<br /><br />▶ 기사 원문 : https://www.ytn.co.kr/_ln/0103_201903110540213964<br />▶ 제보 안내 : http://goo.gl/gEvsAL, 모바일앱, 8585@ytn.co.kr, #2424<br /><br />▣ YTN 데일리모션 채널 구독 : http://goo.gl/oXJWJs<br /><br />[ 한국 뉴스 채널 와이티엔 / Korea News Channel YTN ]